평택수어지명 - 남부
팽성읍
Paengseong-eup
彭 성씨 팽
城 성 성
邑 마을 읍
-
수형
'K' + '6'
-
어원
K-6는 험프리스 미국육군기지로 주한미군이 주둔하고 있는 곳이다.
-
유래
이곳은 고구려시대 팽성군 지역이며 조선시대 초기에는 평택의 치소였다. 1937년 행정구역 개편시 팽성면이 되었고 현재까지 팽성읍으로 불리고 있다.
군문동
Gunmun-dong
軍 군사 군
門 문 문
洞 마을 동
-
수형
'군사' + '문'
-
어원
군사 '군'과 문 '문'의 한자의 뜻을 본 따 제작하였다.
-
유래
이 마을의 본래 이름은 군물진(軍勿津) 이다. 조선 전기 지리지인 신증동국여지승람에도 19C 후반에 편찬된 평택읍 현지(邑誌)에도 군물진이라 기록되어있다. 군물진은 청일전쟁 때 이곳에서 청군이 참패하면서 평택에는 '군문'이라는 지명이 남게 되었다.
동삭동
Dongsak-dong
東 동녘 동
朔 초하루 삭
洞 마을 동
-
수형
'해가 뜨다' + 'ㄷ' + '법원'
-
어원
동삭동에 있는 수원지방법원 평택지원을 착안하여 제작하였다.
-
유래
조선조에 진위현 병파면 서재(西才)와 여방면 모산골(毛山)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진위군 여방면 동삭리가 되었다. 평택읍일 때에는 동삭1리, 동삭2리, 동삭3리가 되었고 1986년 1월1일 평택시로 승격되면서 비전1동의 12통, 13통, 14통이 되었다.
비전동
Bijeon-dong
碑 비석 비
前 앞 전
洞 마을 동
-
수형
'vision = 비전' (미국수어)
-
어원
영어수어 ‘비전’을 인용하여 표현하였다.
-
유래
조선 후기 큰 길가에 비석이 있어서 ‘비석거리’ 또는 ‘비전’이라고 부르면서 유래되었다.
세교동
Segyo-dong
細 가늘 세
橋 다리 교
洞 마을 동
-
수형
'3' + '다리'
-
어원
세교의 ‘세’를 숫자 '3'으로 차용하고 다리 '교(橋)' 한자의 뜻을 본떠 제작하였다.
-
유래
옛날 통복천을 건너다닐 때 작은 다리가 많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.
소사동
Sosa-dong
素 흴 소
沙 모래 사
洞 마을 동
-
수형
'ㅅ' + '모래'
-
어원
단어의 초성을 본뜬 지화‘ㅅ’과 모래라는 한자의 뜻을 합하여 제작하였다.
-
유래
평평하고 너른 뜰을 뜻하는 素(흴 소)와 하천에 인접한 마을을 뜻하는 沙(모래 사)가 합쳐저 평평하고 넓은 들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유래되었다.
신대동
Sindae-dong
新 새 신
垈 집터 대
洞 마을 동
-
수형
'ㅅ' + 'ㄷ'의 수형과 ‘바다’ 수어 합성
-
어원
단어의 초성을 본뜬 지화 ‘ㅅ’과 바닷물이 있던 곳을 착안하여 제작하였다.
-
유래
바닷물이 드나들던 개펄을 간척하고 새로이(新) 터(垈)를 잡은 마을이다.
신평동
Sinpyeong-dong
新 새 신
平 평평할 평
洞 마을 동
-
수형
'새롭다' + '평택'
-
어원
한자의 뜻을 본떠 제작하였다.
-
유래
한국전쟁 이후 새로운 도시계획에 따라 현재의 지역에 새로이 시가지가 형성된 곳이라는 데서 유래되었다.
용이동
Yongi-dong
龍 용 용
耳 귀 이
洞 마을 동
-
수형
'용' + '귀'
-
어원
한자의 뜻을 본 따 제작하였다.
-
유래
백운산에서 뻗어 내린 큰 산들이 두 갈래로 나뉘는데, 동쪽은 용의 머리에 해당한다고 해서 안성시 공도읍 '용두리'이고, 서쪽은 용(龍)의 귀(耳) 언저리에 해당한다고 해서 '용이'라는 마을이름이 유래되었다.
원평동
Wonpyeong-dong
原 근원 원
平 평평할 평
洞 마을 동
-
수형
'근원' + '평택'
-
어원
한자의 뜻을 본떠 제작하였다.
-
유래
경부선철도가 개통되고 평택역이 생기면서 시가지가 형성된 곳으로 대홍수 이후 수리에 문제가 있어 경부선 동쪽으로 역과 시가지가 옮겨지기 전까지 옛날(原)에 평택의 중심지가 있었던 곳이라는 데서 유래되었다.
월곡동
Wolgok-dong
月 달 월
谷 곡식 곡
洞 마을 동
-
수형
'월(요일)' + '곡식'
-
어원
한자의 뜻을 본떠 제작하였다.
-
유래
아름다운 둥근 달을 볼 수 있는 마을이라는 데서 유래되었다.
유천동
Yucheon-dong
柳 버들 유
川 내 천
洞 마을 동
-
수형
'버드나무'
-
어원
버드나무가 흩날리는 모습을 나타내었다.
-
유래
마을 동남쪽에 안성천(川)이 흐르고 버드나무(柳)가 줄지어 서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.
죽백동
Jukbaek-dong
竹 대 죽
栢 측백 백
洞 마을 동
-
수형
'대나무' + '뻗다'
-
어원
대 '죽' 한자의 뜻과 단어의 초성인 'ㅂ'을 합하여 제작하였다.
-
유래
죽백동은 산에 칡이 많이 자생한다는 데서 대죽(竹)자와 칡백(木白)자를 따서 죽백이라 불렸다고 전해진다. 언제부터인지는 모르나 현재는 '竹柏'으로 바뀌어 측백나무 '백'으로 쓰이고 있다.
지제동
Jije-dong
芝 지초 지
制 지을 제
洞 마을 동
-
수형
'ㅈ' + 'ㅈ' (+ 'SRT')
-
어원
‘지’의 초성 'ㅈ'과 ‘제’의 초성 'ㅈ'이 합쳐진 수어로 SRT가 빠르게 지나가는 형태를 나타내었다. SRT는 SR이 운영하는 수서발 고속열차로 2016년 12월 9일 개통했다. 시속 300km로 빠르게 달릴 수 있어 SRT(Super Rapid Train) 이름이 붙여졌다.
-
유래
떼풀(잔디)이 무성하다고 하여 지제울이라고 불린 데서 연유하였다.
청룡동
Cheongnyong-dong
靑 푸를 청
龍 용 용
洞 마을 동
-
수형
'청' + '용'
-
어원
푸를 '청'과 용 '용'의 한자의 뜻을 본 따서 제작하였다.
-
유래
백운산에서 여러 갈래로 큰 산들이 뻗었고 숲이 울창(靑) 하여 마치 용이 꿈틀거리는 모습이라는 데서 유래되었다.
통복동
Tongbok-dong
通 통할 통
伏 엎드릴 복
洞 마을 동
-
수형
'평택' + '시장'
-
어원
통복시장은 통복 고가도로 등이 교차하는 교통의 요충지이다. 평택지역에 각종 농산물집하장 역할을 하고 있는 중심지로 통복시장을 본 따 제작하였다.
-
유래
통복천을 가로막아 농업용수를 확보하기 위해 저수지를 만들었는데 이 저수지가 '통복보' 이다. 농경에 지대한 공헌을 했던 ‘통복보’ 가 여기저기 기록으로 남으면서 지명으로 정착되었다.
평택동
Pyeongtaek-dong
平 평평할 평
澤 못 택
洞 마을 동
-
수형
'평택'
-
어원
평평할 ‘평(平)’ 한자의 모양을 본 따 제작하였다.
-
유래
평택동이 만들어진 것은 한국전쟁 후 새로운 시가지가 건설되면서부터이다. 1953년말 평택역과 군청, 경찰서가 철길 동쪽으로 이전하면서 형성되었다.
합정동
Hapjeong-dong
蛤 대합조개 합
井 우물 정
洞 마을 동
-
수형
'조개'
-
어원
한자의 뜻을 본 따 제작하였다.
-
유래
옛날에 배가 드나들고 조개가 많이 나는 곳이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.